무릎 연골 손상이란
관절 내 연골이 부분 적 혹은 전체적으로 벗겨지거나 연골하 골까지 분리될 수 있으며 정도에 따라서는 관절 내 유리체를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여러 관절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무릎 관절에서 가장 흔하게 호발합니다.
이는 관절 내 유리체 발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박리성 골연골염 즉, 관절면으로부터 연골과 연골하 골의 조각이 떨어져 나오는 괴사 소견은 주로 무릎 외상 후에 나타납니다.
무릎 연골 손상 원인
외상이나 과도한 육체노동, 과격한 운동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외에도 무릎 연골 손상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유전적 요인이나 퇴행성 변화, 호르몬의 불균형, 혈액 흐름의 손실에 의한 무혈성 괴사, 하지 관절의 부정렬, 내분비계 및 순환장애 등 많은 요인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무릎 연골 손상 증상
무릎 주변의 동통과 함께 관절 내 염증, 부종, 잠김 현상, 관절 불안정성, 염발음, 관절 운동 범위 제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손상의 경우에는 체중을 디딜 수 없어 절뚝거리며 걷게 되고 만성 손상의 경우에는 보행은 가능하나 자꾸 동일한 부위에 통증과 덜컹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종이 자주 생기고 오래 서있을 때 무릎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무릎 연골 손상 치료
무릎 연골 손상에서 박리성 골 연골염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성인의 경우에는 분리가 안된 안정적인 손상일지라도 스스로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도록 합니다.
하지만 성장판이 열려있는 환자에서 분리가 안된 비교적 안정적인 손상의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무릎 연골 손상 수술 방법
뼛조각의 괴사나 변형의 정도, 손상 위치 등의 의학적 상태와 더불어 환자 개개인의 나이, 직업, 활동량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술 방법을 결정합니다.
수술 방법은 머리가 없는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뼛조각을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며 연골 조직의 광범위한 재생을 돕는 미세 절골술, 자가 또는 동종 골연골 이식술,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 등의 연골조직 재생술을 함께 시행하기도 합니다.
무릎 연골 손상 원당연세병원은?MRI, CT 등의 첨단 검사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각 분야별 의료진의 협진으로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며 내과 의료진이 전신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여 더욱 안전한 수술적 치료가 가능합니다.
숙련된 치료사를 통한 체계적인 비수술적 치료부터 무균 수술실에서 시행되는 안전한 수술적 치료까지 1:1 맞춤으로 시행합니다.
수술 후의 빠른 회복 및 일상 복귀를 위한 단계별, 환자별 재활치료를 통해 더욱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를 이끌어냅니다.
원당연세병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호국로 781 원당연세병원 2~7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