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청소년 월세지원 신청절차를 확인하세요
이제 막 사회에 입문한 초보자들에게는 자립을 위해 돈을 모으는 것조차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재정이 고갈되는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매달 수십만원에 달하는 월세를 내야 한다는 사실은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사회 초년생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등장한 제도가 바로 무주택 청년을 위한 월세 지원이다.
그래서 오늘은 신청조건과 절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무주택 청소년을 위한 신규 월세 지원 신청이 4월 12일부터 접수된다.
주로 사람들이 거주하는 원룸이나 오피스텔의 경우 전세에서 월세로 빠르게 전환되는 추세다.
꾸준한 월세 상승 추세를 고려해 1인당 지원 기간을 최대 2년까지 아낌없이 연장했습니다.
이는 국토교통부에서 시행하는 제도로, 1년 동안 월 20만원씩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무주택 청년에 대한 월세 지원 기간이 최대 2년으로 확대되면서 지원금액도 최대 240만원에서 480만원으로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지원 여부를 확인하려면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19세~34세 사이의 노숙 청년이어야 합니다.
해당 연령대에 맞게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소득 및 자산 요건도 충족해야 합니다.
청소년 본인의 가구와 부모를 포함하여 원래 가구의 자산과 소득을 모두 고려합니다.
해당 청년의 소득은 기준 중위소득의 60% 이하여야 하며, 본 가구의 소득은 100% 이하여야 합니다.
재산의 가치도 이 순서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각각 1억2200만원 미만, 4억7000만원 미만으로 책정됐다.
청년가구란 배우자, 본인 및 직계비속이 같은 주소에 거주하는 모든 민법상 가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원가구는 청년가구에 1촌 이내의 직계혈족을 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혈연 관계. 무주택 청년, 30세 이상 월세 지원 조건 중 나이, 결혼 등 부모와 거주지 및 생계가 다르다고 판단되는 청년이라면 적극 활용해야 한다.
본인 세대의 소득과 자산만 확인하기 때문입니다.
신청하려면 먼저 모의계산 서비스를 통해 지원 대상 여부를 판단한 후 신청서류를 준비하여 거주지 복지사무소나 기초자치단체에 신청하면 된다.
모의계산 서비스는 복복로, 마이홈포털, 각 시·도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요건이 폐지된 이후에는 신규 신청자는 2025년 2월 25일까지 언제든지 신청할 수 있으며, 지자체는 재산 및 소득요건 확인을 거쳐 월세를 지급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무주택 청년을 위한 월세 지원 신청 절차와 조건, 수혜자를 분석했다.